양강도와 함경북도의 협력자가 사는 지역도 작년 11월부터 지역 당국이 월 1만 원씩 전기 사용료를 의무적으로 지불하라고 했지만 전력공급의 부진으로 중단되었다.
북한에서는 올해 들어 주민 지구에 전기 공급이 급속히 악화되면서 하루 1초도 전기가 오지 않는 '절전' 지구가 확산되자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었다. 때문에 "전기가 잘 공급된다면 1달에 1만 원을 내도 좋다"라는 의견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현재 전력 공급이 개선되면서 지역 배전부의 단속도 강화되는 모양새다.
협력자는 "전기가 제대로 공급되면서 배전부가 전기 히터에 대한 단속을 심하게 한다. 전력선이 노후해 합선, 감전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과거 김정일 시대부터 북한에서는 식구 수나 가전제품 보유 등을 기준으로 한, 주먹구구식의 요금 부과 방식과 지나치게 싼 전기 사용료로 전력 낭비가 심해 요금 부과 방식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몇 번 있었다. 하지만 지속되는 전력난 등의 원인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전력 공급의 정상화와 함께 원가를 타산하고 경제적 합리성을 추구하려는 현 정권의 움직임으로 보인다. 현재 북한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볼 때 전력 공급의 정상화가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관련기사】
◆<현지조사> 올해도 북한 어선은 올까? 중국의 밀수 묵인으로 오징어잡이 부활
◆<북한내부> 마침내 일부 농촌에서 기아 발생… ‘절량 세대’ 증가로 당국 당황
◆<북한내부> 철도 연결로 남쪽 구경할 수 있을까? 생활 악화로 한국에 대한 기대감 높아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