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노이 회담 결렬 후부터 단속 강화
북한과 약 1400km의 국경선을 가진 중국이 밀수 단속을 본격화하고 있다. 2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로 끝나고 국제사회의 제재 기조가 계속되게 된 이후부터다. UN 안보리 경제 제재의 '구멍'을 제공하고 있다고 자주 비판받던 중국이지만, 밀수에 대해 엄격한 단속에 나서기 시작했다.
북한에 있어 중국은 무역의 90%를 의존하는 최대 경제 파트너이자 우방국이다. 그 중국이 UN 안보리 경제 제재에 찬성해 북한 경제는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지난해 대중국 무역은 2017년에 비해 수출이 마이너스 88%, 수입은 마이너스 32%를 기록했다.
석탄과 철광석, 위탁가공 섬유제품, 해산물 등 주력 수출품이 모두 금지되고, 외화 수입이 큰 타격을 입은 것 외에도 석유제품의 대폭 수입 제한, 자동차 및 기계, 철강 등의 수입도 금지되어 국내 생산활동과 운수, 건설에 막대한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
엄격한 제재 환경의 가운데에서 김정은 정권은 밀무역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활로를 찾고자 했다. 서해상에서의 '환적'과, 중국과의 국경하천인 압록강이 주 무대다. 밀수를 실행하는 것은 당국이 뽑은 무역회사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국가 밀수'라고 불린다. 중국 측은 밀수업자가 맡아왔다.
2018년 이후 밀수의 최대거점이었던 곳은 압록강 상류의 길림성 장백현 부근이다. 강폭이 좁고 북한 측에 양강도 혜산시라는 교통의 요충지가 있기 때문이다. 압록강 하구의 단동-신의주 부근은 선박을 이용한 밀수가 성행했지만 중국 당국이 엄격히 감시해 지난해부터 급격히 저조해졌다.
"북한의 국가 밀수는 압록강 상류에 집중하게 됐다. 장백현 부근의 밀수 포인트는 매일 밤 북한과 중국의 300명 정도가 모여 자동차, 버스, 컨테이너가 오가는 활황을 맞고 있다"
길림성에 사는 아시아프레스 취재협력자는 강이 얼어붙은 지난해 말 현지를 방문해 이처럼 보고 했다. 중국으로부터는 주로 철강재, 시멘트, 자동차와 타이어 등의 관련품이 대대적으로 북한에 옮겨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