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월에 온 편지가 마지막이군요. 그 뒤로는 답장이 전혀 없어요. 벌써 모두 죽었는지도 몰라요.”
간사이 지방에 사는 재일조선인 P씨는 이렇게 한탄했다. 북한에 사는 혈육들의 연락이 뚝 끊긴 것이다.
2020년 1월 말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이 시작되자 김정은 정권은 즉각 국경을 봉쇄하고 인적 왕래를 금지하고 무역의 대부분을 막았다. 중국을 경유하는 우편 업무도 끊겼다. 일본 우체국은 지난해 중반부터 대북 우편물을 받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fa-arrow-circle-right <긴급 인터뷰> 도시 봉쇄한 혜산시에서 사망자 발생. "약과 식량 부족으로 사람이죽었습니다"
P씨의 부모와 여・남동생 8명은 1960년대 재일교포 귀국사업으로 북한으로 건너갔다. 가족 중 유일하게 일본에 남은 P씨는 직장에 다니면서, 부업도 하고 꼬박꼬박 돈을 모아 60년 가까이 생활비용를 보내며 육친들을 지원해 왔다. 그럼에도 1990년대 굶어 죽은 여동생이 있다. 부모의 임종도 못 보았다.
“옆에 있어주지 못해 억울합니다. 코로나로 동생들과의 인연은 결국 깨지는 건지도 몰라요.”
P씨. 끝없는 원조를 계속하며 북한의 실정을 잘 알고 있는 탓인지 그녀의 말은 어딘가 체념조로 들렸다.
◆ 일본을 통해서 이루어진 편지거래가 단절
남한에 사는 J씨도 북한에 있는 가족이 궁금해서 못 견디겠다. 간사이 지방에서 태어나 10대였던 1970년대에 가족과 함께 북한에 건너갔다. 10년 정도 전에 탈북했다. 남겨 두고 온 아들과 딸에게 일본의 지인을 통해 송금을 계속해 왔다. 일본에서는 북한으로 우편도 돈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J씨는 ‘일본에 사는 큰아버지’ 행세를 하며 펜팔을 계속하고 있다. 딸들이 ‘큰아버지’ 앞으로 보내온 편지 뭉치를 보여 줬다.
매번 건강 챙기는 인사로 시작, 이사했다,새 직장으로 옮겼다 등의 근황 보고, 송금에 대한 감사, 그리고 “언젠가 만날 수 있는 날이 오기를…”라는 말로 끝맺음 했었다. 송금해 준 옷을 입고 기쁜 표정의 사진이 동봉되기도 했다. ‘아버지’라고 부를 수 없는 답답함과 안타까움이 전해져 온다.
일본을 통해 간신히 이어지고 있던 부모 형제와의 인연이 코로나로 끊어져 버렸다. “무사하다고 믿고 기다릴 수 밖에 없다”는 J씨. 한국에서 아이들에게 보낼 돈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