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입을 막는다며 김정은 정권이 중국과의 국경을 봉쇄한 지 1년 반이 지났다.
사람의 왕래는 거의 끊겼다. 평양에 주재하는 외교관과 국제기관 관계자의 대부분이 철수했다. 7월 말 시점에서 국제우편도 완전히 멈춘 상태다. 1,400km에 이르는 북중국경 일대는 경계가 엄중해서 월경이나 탈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내의 상황을 알 만한 확실한 정보라인은 완전히 사그라들고 말았다.
필자는 북한 국내에 중국 휴대전화를 반입해 취재협력자들과 연락을 해왔다. 하지만 그・그녀들도 국내 이동이 뜻대로 되지 않아 거주지 이외의 사정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궁핍한 도시 취약계층에서는 굶어 죽는 사람까지 나오고 있다. 사각지대가 되어버린 북한 내부는 어떤 상황일까? 그 일단을 살펴보기 위해, 7월 중순 중국 주재 취재 파트너가 북중국경의 압록강 하류 일대를 취재했다. 중국 측에서 초망원렌즈로 촬영한 평안북도의 모습을 2회로 나누어 보고한다.
◆ 사라진 주민의 모습... 경계 엄중한 국경에는 군인투성이
랴오닝성 단둥시의 맞은편은 평안북도 신의주시. 국제연락교 주변은 중국 관광선이 운행 중이다. 촬영자는 우선 배를 타고 북한에 다가갔다.
"북한 쪽에는 병사 외에는 인적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 이전에는 하역작업, 낚시, 산책하는 사람이 당연히 있었는데. 조업하는 북한 선박도 강에는 없었다"
북한 당국은 코로나 이전부터 국경 하천인 압록강과 두만강에 주민이 접근하지 못하게 했지만, 코로나 발생 이후에는 삼엄하게 경계하고 있다. 하천 접근을 전면금지하고, 국경경비대를 비롯해 조선인민군 부대 등에서 선발한 병사들로 편성된 특별부대, 이른바 '폭풍군단'를 배치해 검문을 강화했다.
경비 강화는, 표류하는 쓰레기와 밀수를 통해 악성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 지난해 8월에는 사회안전성(경찰) 명의로 국경지대를 완충지대로 하고, 무단 접근하는 자는 무조건 사격한다는 포고까지 내놓았다.
하지만 목적은 그것만이 아니다. 과도한 코로나 대책으로 경제가 혼란해져 곤궁한 주민이 중국으로 도망가는 것을 막는 게 주된 목적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