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

북한 당국이 국경 하천을 따라 철조망을 설치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경 부터이다. 중국으로의 도망과 밀수를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강은 주민들이 목욕과 빨래를 하고, 음용에 필요한 생활용수다. 압록강 하류에서는 어업과 수운도 활발했다.

지난해 김정은 정권은 압록강과 두만강에 주민의 접근을 전면 금지했다. 밀수꾼과 월경자, 표착하는 부유물로 인해 바이러스가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고, 김정은이 직접 지시를 내렸다. 강을 이용하는 주민의 모습은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사진5

2019년 9월에 촬영한 사진. 압록강에서 빨래하는 여성들. 여름에는 목욕하는 사람도 많았지만 이제는 이런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중국 측에서 이시마루 지로 촬영

사진6

위장복 차림의 국경경비대원이 지붕 보수를 하고 있다. 아래에는 동원된 사람들이 철조망 설치 공사를 하고 있다

사진7

지붕 보수 작업을 하는 국경경비대원 사진의 클로즈업

지난해 8월에는 완충지대에 허가 없이 접근하는 자는 군법에 의해 처벌, 경고 없이 사격하기로 결정하고 사회안전성(경찰) 명의의 포고을 발표했다.

현재 압록강과 두만강 변에는 군대와 주민을 동원한 새 철조망 설치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코로나 방역을 구실로 국경 1400km를 항상 완전히 봉쇄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필자는 보고 있다.

과도한 코로나 대책 때문에 국내 경제는 몹시 피폐해졌고 도시의 가난한 주민들 중에서는 아사하는 사람까지 나오고 있다.

90년대 후반 이후 10년간처럼, 중국에 월경하려는 사람이 속출해도 이상할 게 없다. 또한 한국으로 탈북한 사람이 북한에 남은 가족에게 불법으로 송금하는 경로의 차단, 한국 드라마나 노래 등 '불순정보'의 유입 방지라는 목적도 있을 것이다.

중국과의 국경은 북한에서 유일하게 외부 세계와 사람, 물건, 정보가 오가는 창구였다. 코로나 사태를 이용해 그것을 완전히 차단해버리려는 것이 김정은 정권의 의도일 것이다.

주민을 가둘 '우리'를 정작 주민과 군대를 동원해 만드는 것이다.

 

사진8

압록강 제방 공사. 수해를 방지하기 위해 직장과 지역의 여성조직에서 동원된 사람들로 보인다

사진9

리어카로 옮긴 큰 돌을 쌓아서 제방을 보수•강화하고 있다. 전부 인력인 듯하다. 작업이라도 철조망을 넘는 사람은 출입증(빨간 원)이 필요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