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사진) 압록강 너머로 바라본 북한 10호 초소. 보위국(비밀경찰)이 관할하며 국경으로 통하는 주요 길목을 막아 통행자들의 신분증과 여행증명서, 휴대전화를 주로 검사한다. 2023년 9월 평안북도 삭주군을 중국 측에서 촬영 (아시아프레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국경 차단을 통한 북한 당국의 철저한 정보 통제로 인해 주민들은 외부 사정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부 정보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원에서 한국이나 일본으로 탈북한 가족이 있는 이들에 대한 탄압이 날로 심해지고 있다고 아시아프레스의 취재협력자가 전했다. (전성준 / 강지원)

◆ 당국의 극심한 정보 통제에 외부 소식은 진공 상태

세상 사람들이 북한 내부의 정보에 목마른 것만큼이나 북한 주민도 외부 정보에 주려 있다. 북부 지역에 사는 협력자의 보고를 종합하면, 북한 당국의 철저한 정보 통제가 주민을 외부 소식으로부터 격리시키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는 중국이 어떻고, 한국이 뭐하고 같은 말을 장마당이나 사람들을 통해서 한마디도 들을 수가 없어요. 오직 듣는다는 게 ‘로동신문(노동당 기관지)’을 통해서 중국 경제발전, 팔레스티나(팔레스타인) 전쟁 상황 같은 것들만 있고 외부 소식을 알 수가 없어요”

◆ 당국의 탄압에 기를 펴지 못하는 탈북자 가족들

“탈북자 가족에 대한 통제가 심해지고 있어요. 특히 유언비어를 퍼뜨리거나 중국 전화를 사용하는 행위에 대해서 용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고, (가족의 탈북으로)이미 죄를 지었으니 나라에 충성하라 요구하고 있어요”

협력자는, 당국이 탈북자 가족을 외부 정보를 유입시키는 잠재적 범죄자로 규정하고 그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데다 함정수사까지 벌이는 등 강한 감시하에 두고 있다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수시로 안전국에서 방문하고, 임의로 불러서는 조사해서 탈북자 가족이 기를 못 펴고 살아요. 그리고 보위부, 안전국에서 감시원이 고정으로 붙어서 일거일동까지 캐고 중국 전화를 색출하기 위해서 돈 받아주는 사람(송금 브로커)으로 가장시켜서 사람도 보내고 그래요”

계속해서 협력자는 “국경과 떨어져 있는 지역의 탈북민 가족들은 여행증명서(통행증) 발급 자체가 안 되고, 몰래 국경 근처로 오면 (한국이나 일본에 있는 가족에게)전화를 했든 안 했든, 도강(탈북) 기도로 보고 무조건 감옥에 보낸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기회로 북한사회와 주민에 대한 강력한 통제를 확보한 김정은 정권이 자신들의 아킬레스건인 외부 정보 유입을 완벽히 차단하기 위한 주요 타깃으로 탈북민 가족을 지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 국내에 반입해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