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사진) 공설시장 뒷길에서 장사하는 사람들. 2024년 10월 양강도 혜산시를 중국 측에서 촬영 아시아프레스

북한 정부가 '화폐교환(새 원화로 교체)'을 단행한다는 정보가 국내에 널리 퍼지고 있다. 현 통화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거라는 의심으로 인해 현물 사재기와 중국 위안, 미국 달러 등의 외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확산해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당국은 '화폐교환'을 류언비어라 부정하고 있지만, 주민 사이에서 불안과 혼란이 퍼지고 있다. (이시마루 지로 / 강지원)

◆돈주와 간부들의 사재기 움직임으로 불안 확산

'화폐교환이 있는 것 같다'라는 정보는 10월 말경부터 갑자기 퍼지기 시작했다.

11월 초순, 함경북도에 사는 취재협력자 A 씨가 "정부가 '화폐교환'을 하려는 것 같다는 정보가 퍼지고 있다"는 보고를 전했다. 11월 12일에는 양강도에 사는 취재협력자 B 씨가 혼란 발생 동향을 상세히 전해 왔다.

두 지점에서의 보고는 공통된 점이 많았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돈주'라고 불리는 신흥부유층과 간부들이 몰래 가전제품과 가구, 자전거, 식료품의 사재기와 외화구입에 나섰고, 그것을 인지한 주민들이 '화폐교환'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 은행에서는 파손된 지폐 교환에 일절 응하지 않기 시작했다.

・ 새로 500, 1000, 2000원의 동전과 세로 5000, 10000원의 지폐를 발행하는 것 같다.

・ 예전보다 더 엄격하게 개인 간 외화 거래를 단속하고 있다.

・ 화폐교환은 11월 중에 시작된다는 미확인정보가 퍼지고 있다.

・ 당국은 '유언비어'에 지나지 않는다며, '화폐교환'이라는 말 자체를 쓰는 것을 단속하고 있다. 물자 사재기와 개인 간 매매를 적발하면 몰수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참고사진) 당당히 중국원으로 거래하는 노천시장의 여성 상인. 손에 들고 있는 것은 1중국 위안 거스름돈. 그러나 현재는 외화 사용을 엄격히 단속해서 이런 모습은 볼 수 없다. 2013년 10월 양강도에서 촬영 (아시아프레스)

◆북한식 캐시리스 제도와 관련 있나

특징적인 것은, '현금카드'의 사용 독려와 관련된 정보가 확산하고 있는 점이다.

김정은 정권은 2023년 말경부터 국영기업과 공무원의 노임(월급) 지급을 현금이 아니라 '현금카드'를 건네주고 카드에 입금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현재는 농촌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직장 노임과 년로보장금(연금) 지급을 카드 입금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것은 국영상점과 식량전매점인 '량곡판매소' 등에서 결제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현금을 충전할 수도 있다.

"정부는 전 세대가 카드를 1장은 갖고 있도록 지시하고 있다. '화폐교환'이 이뤄져도, 카드에 있는 돈은 그대로 새 원으로 바꿀 수 있다는 소문이 퍼져, 돈주와 간부들은 수중의 현금을 계속 카드에 넣고 있다. 사재기와 외화 구입에 뛰어든 것도 그렇고, '화폐교환' 정보를 사전에 알아서 좋은 돈벌이 기회라고 생각해 움직였을 것이다" (협력자 B 씨)

◆ 15년 전 '화폐교환'의 악몽

2009년 11월 30일, 당시 김정일 정권은 '화폐교환'을 전격적으로 단행했다. 이 때는 원을 100분의 1로 내리는 디노미네이션이었는데, 교환 상한액을 세대당 구원 현금 10만 원까지로 하고, 교환 기한을 일주일로 한정했다. 많은 주민들에겐 아닌 밤중에 홍두깨로, 보유하고 있던 10만 원 이상의 구 원화가 휴지 조각이 돼 버려 대혼란을 초래했다.

김정은 정권이 정말로 '화폐교환'을 실행할지 현시점에서는 불확실하다. 만약 단행한다고 해도 그것이 화폐 절하를 같이 할 것인지, 교환할 수 있는 금액과 기간에 제한을 둘 것인지도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주민 사이에서 정부와 자국통화에 대한 불신이 뿌리 깊기 때문이다.

"정부는 계속 인민을 통제하는 것만 해왔으니, 주민의 생활 같은 건 아랑곳하지 않고 '화폐교환'을 실시한다 해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협력자 B 씨는 이렇게 한탄했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