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여름 이후 북한 관영매체에서는 ‘협동농장’이라는 용어가 ‘농장’으로 대체되었다. 그 배경에 대한 연구자나 언론에서 여러 가지 추측이 나와 있었지만, 어떤 것도 확실하지 않았다. 복수의 아시아프레스 내부 취재협력자는 농장 현지에서 ‘협동농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국영화 가능성을 보고해 왔다. 김정은 정권의 의도는 무엇일까? (전성준/강지원)
◆협동농장은 국영화됐나?
2024년 10월 아시아프레스 취재협력자 A 씨는 함경북도의 한 농장을 현지 조사해 ‘협동농장’ 명칭이 ‘농장’으로 바뀐 것을 확인했다.
“이제 협동농장이라는 개념을 없애고 리마다 지역명을 붙여 OO농장, 이런 식으로 부른다”
다만 삶이 고단한 현지 농장원들은 농장 명칭 변화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은 아니라고 협력자는 전했다. 그리고 농장 차원에서도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없었다며 이러한 변화가 농장 토지의 국유화와 연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농장 경영재량권 확대
올해 2월 함경북도의 다른 농장의 농장원 B 씨도 이전의 협동농장 대신 현재는 농장으로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B 씨는 각 농장의 경영에 재량권이 부여됐다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농장도 국가계획 수행을 위해서 자립적으로 생산 활동을 하라는 게 원칙이다. 이젠 농사에 필요한 영농물자, 종자, 기름 같은 것도 농장 자체로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농장 운영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서 구체적으로 보고한다.)
이러한 대변화의 배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 힌트는, 2021년 12월에 열린 노동당 제8기 4차 전원회의에서의 김정은 발언에서 엿볼 수 있다.
김정은은 회의에서, 《우리식 사회주의농촌발전의 위대한 새시대를 열어나가자》 라는 보고에서 농촌문제를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전략적 문제로 강조한 바 있다.
북한이 새로운 시대의 농업 강령이라고 간주하는 김정은의 보고 내용은 협동농장 토지의 소유권 문제에 대한 언급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