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담 가중 꺼리는 농장, 동원자 수용 기피

또한 당국은 작업 내용과 기간, 필요한 동원자 수를 미리 제출하도록 농장에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농장은 당황하는 모습이다.

"부담이 커지니 농장에서는 되도록 동원자를 받지 않고 자체로 농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김매기 등 중요한 시기에만 받을 생각입니다" (B 씨)

한편, 경영이 어려운 기업에서는 근로자를 최대한 많이 농촌동원에 보내려고 하고 있다. 동원 기간 동안 인건비 부담이 줄기 때문이다.

◆ 여전히 인민 동원에 의존하는 취약한 농업

2022년경부터 김정은 정권은 농업 정책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농장에 재량권을 주는 대신 경영을 자립시켜 기업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올해부터 시작된 농촌동원 체제 변경은 이러한 정책 변경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

단 B 씨는, "(상술한 대우는)모든 동원자가 대상이 아니라, 종래대로 국가가 계획하는 집단 지원도 유지될 것"이라 보충 설명했다.

이러한 운용이 실제로 어디까지 실행에 옮겨질지는 불분명하다. 북한 정부는 매년 '농업제일주의' 구호를 내세우면서도 필요한 식량 확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분적으로 변화의 조짐이 보이면서도, 여전히 인민동원에 의지해야 하는 점에서 북한 농업의 취약점이 드러난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북한 지도 제작 아시아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