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조지폐가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나 골머리 앓는 당국
북한은 지난해, 백미 가격이 1.7배, 휘발유 가격이 2.2배로 급등하는 등 심각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렸다. 위조지폐가 대량으로 유통되면, 이러한 인플레이션에 더욱 가속이 붙을 것이다. 당국에겐 큰 골칫거리가 되며, 경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함경북도 회령시의 협력자도 "위조지폐가 유통되어 문제다. 돈표나 가짜 돈에 대해서는 신고체계를 바로 세우고 발견 즉시 신고하라고 하지만 주변에 가짜 돈 받았다고 신고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전해왔다.
중국의 10위안, 20위안 지폐와 '돈표'의 위조지폐가 많다고 한다. 정부의 통화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원래부터 기피되었던 '돈표'는 이제 누구도 받지 않게 되었다고 전했다.
※ 아시아프레스는 중국 휴대전화를 북한에 반입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

- <북한내부>물가 폭등 대책으로 임시 금권 '돈표' 대량 발행 '정부 못 믿어' 빠르게 가치 폭락 수취 거부도
- <북한내부>갑작스러운 '10배 임금 인상'은 어떻게 됐나? (1) 확대하는 디지털 통화와 카드 결제 "정전 잦은 게 문제
- <북한내부>온라인 송금 빠른 확대 놀라움 목적은 주민의 돈 파악? 김정은 정권은 전자화폐 보급 가속
- <북한내부>가난한 여대생 4명 매춘 행위로 퇴학, 농촌에 추방 청년의 질서 위반 철저히 처벌
- <북한내부>'굶주리는 봄' 다가오며 불안 확산 김정은 정권은 '절량세대' 조사 개시 "인구의 45.5%, 1180만 명이 영양실조" 유엔 기관 보고
1 2